SRT 예약 대기 신청방법 (좌석 없을 때 이렇게!)


🚄 SRT 예약 대기 신청방법 (좌석 없을 때 이렇게!)

예약 대기란?

SRT 예약 대기 서비스는 원하는 열차가 매진일 때, 자동으로 좌석이 풀리면 알림 또는 자동 결제가 되는 기능입니다.
즉, 바로 예매는 못해도 다른 승객의 취소표가 나올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좌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약 대기 신청방법

  1. SRT 공식 홈페이지(PC) 또는 SRT 앱(모바일)에 접속합니다.
  2. 일반 예매와 동일하게 출발역, 도착역, 날짜, 시간을 선택하고 조회합니다.
  3. 원하는 열차가 “매진”으로 표시되면, ‘예약대기 신청’ 버튼을 누릅니다.
  4. 결제 수단(카드/간편결제 등)을 미리 등록해야 하며, 좌석이 배정되면 자동 결제가 진행됩니다.
  5. 신청이 완료되면 예약 대기 번호가 부여됩니다. (앞번호일수록 우선 배정)
💡 모바일 앱에서는 ‘예매 → 열차 조회 → 매진 → 예약대기 신청’ 경로로 가장 빠르게 진행 가능합니다.

신청 내역 확인 & 취소

예약 대기 신청 후에는 마이페이지 → 예약대기 현황에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배정 성공 여부대기 순번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필요시 신청 취소도 가능합니다.

  • 좌석 배정 시 → 자동 결제 후 승차권 발권 완료
  • 배정 실패 시 → 자동 취소(수수료 없음)
  • 원하는 경우 직접 ‘취소하기’ 버튼 클릭 가능

주의사항 & 꿀팁

  • 예약 대기는 출발 1시간 전까지만 신청 가능합니다.
  • 대기 순번이 높을수록 배정 확률이 낮습니다.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
  • 여러 열차를 중복 신청할 수 있지만, 동일 시간대 다중 신청은 제한됩니다.
  • 승차권이 배정되면 자동 결제가 진행되므로 결제수단 오류가 없도록 미리 등록하세요.
  • 성수기/주말에는 경쟁이 치열해 배정 확률이 낮습니다. 출발일 하루 전, 당일 새벽에 취소표가 많이 풀리니 주목하세요.

예약 대기 성공률 높이는 방법

  • 출발 하루 전 저녁 ~ 당일 새벽: 여행 취소율이 가장 높아 취소표가 많이 나옵니다.
  • 출발 2~3시간 전: 급한 취소가 집중되는 시간대입니다. 대기 순번이 밀려 있어도 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연휴 직후·비성수기: 좌석 취소율이 높아 대기 성공률 ↑.
  • 노선별 인기 구간: 부산·광주·여수EXPO 등 장거리 노선은 취소표 수요도 많아 대기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대기 신청은 가능한 빨리 넣는 것이 핵심! 같은 열차라도 순번에 따라 기회가 달라집니다.
🔑 TIP: 출발일 새벽(0시~1시)과 출발 2시간 전은 SRT 앱을 켜 두는 게 좋습니다. 이때 가장 많은 취소표가 풀립니다.

SRT 정차역 출발시간 확인 →

SRT 할인 승차권 바로 가기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예약 대기 좌석이 배정되면 알림이 오나요?
네, 앱 푸시 알림 또는 문자로 좌석 배정 사실을 알려줍니다.

Q2. 자동 결제가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결제가 승인되지 않으면 좌석은 다음 대기자에게 넘어갑니다.

Q3. 예약 대기와 취소표 예매는 뭐가 다른가요?
예약 대기는 자동 배정+결제 시스템, 취소표 예매는 직접 조회 후 수동 결제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예약 대기 서비스는 SR(㈜에스알) 정책에 따라 운영되며, 공지/시스템 점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최신 내용은 SRT 공식 홈페이지SRT 앱을 통해 반드시 확인하세요.

SRT vs KTX 예약대기 비교

구분 SRT (SR) KTX (코레일)
운영사 ㈜SR (수서발 고속열차) 코레일 (서울·용산·부산 등)
신청 경로 SRT 앱 / SRT 공식 홈페이지 코레일톡 앱 / 코레일 홈페이지
자동 결제 결제수단 등록 후 좌석 배정 시 자동 결제 결제수단 등록 후 좌석 배정 시 자동 결제
대기 가능 시간 출발 1시간 전까지 출발 20분 전까지 (노선·좌석별 다소 차이)
알림 방식 앱 푸시 / 문자 앱 푸시 / 문자
혜택·할인 SRT 전용 할인 (Blue/Yellow/Pink/Green 등) 코레일 멤버십, N카드, 청소년드림·힘내라청춘 등
특징 수서역 기점, 온라인 예매 할인(1%+0.2%) 적용 전국 주요역 출발, KTX·ITX·무궁화 등과 연계 쉬움
✅ 정리: SRT는 수서역 중심, 온라인 예매 자동할인에 강점 / KTX는 전국망과 다양한 할인정책, 환승 연계성이 강점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다음 이전